<2017-06-01 격주간 제854호>
[지도자 탐방] 한국4-H운동의 산증인이자 ‘4-H사업기술전문가’
강 건 주 고문 (한국4-H본부)

강건주 고문은 한국4-H운동이 뿌리내리기까지 미국 원조당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4-H회원 육성으로 피폐한 농촌 부흥을 위해 청춘을 불태웠다.
한국4-H운동 70년의 역사를 한눈에 꿰고 있는 산증인, 강건주 한국4-H본부 고문(89·서울시 마포구 현석동). 그는 스스로 ‘4-H사업기술전문가’라고 말한다. 올해 우리 나이로 90세이다. 1948년부터 주한미국대사관 주한경제사절단(AMIK)에서 사무원으로 일하기 시작해 1979년까지 30년 넘게 미국경제원조처, 한미재단, (사)한국농촌청소년사업협조위원회, 한국4-H중앙위원회(한국4-H본부 전신) 등에서 활약했다.
특히 6.25한국전쟁 소용돌이 속에서도 한국농업사의 전환기를 가져온 농촌지도기구(농사원)를 만드는 기초를 놓아, 4-H회원 및 농촌지도자를 양성하고 농업기술을 보급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했다. 그 시절 4-H회원 육성과 농촌계몽, 농업기술 보급은 떼어놓을 수 없는 관계였다. 그는 미국 원조당국과의 긴밀한 협력으로 피폐한 농촌을 부흥시키기 위해 청춘을 불태웠다.

4-H 도입한 앤더슨과의 만남

강 고문은 1927년 함경북도 성진시 한청동에서 태어났다. 8.15광복 다음 해인 1946년 4월 월남했다. 이때 가호적에 형님의 생년인 1923년으로 기재가 돼 나이가 네 살이나 더 많게 살아야 했다. 서울에 온 그는 연세대학교 철학과에 합격했으나 학교를 다닐 형편이 못 되었다. 김포비행장에서 6개월간 미군 비행기에 급유하는 일을 했다. 가진 돈을 털어 타자기를 사서 교본을 보고 사용법을 터득했다. 마침 미국 대사관에서 직원을 모집하는데 타이핑이 필수였다. 이 시험에 응시해 합격한 것이 4-H와 평생을 함께한 운명의 시작이었다.
그는 한국전쟁 중 서울이 수복되면서 국제연합 민사원조사령부(UNCACK) 식량농림국 농촌교도사업지원부에서 일하게 된다. 이 사령부의 유일한 한국인 직원으로 한국농사교도사업(현 농촌지도사업)을 설정하는 것이 주 업무였다. 더불어 4-H구락부 복구사업을 펼쳤다. 그는 전쟁 전에 경기도에서 4-H지도요원으로 활동했던 김갑영(4-H노래 작사), 이병춘, 이진묵 등과 협조하여 경기도내 4-H구락부를 순회 방문해 조직을 재정비하고, 지도자 교육훈련 사업을 펼쳤다.
1954년은 한국의 4-H가 한 단계 도약하는 해였다. 그해 1월, 한국에 4-H를 도입한 C. A. 앤더슨이 내한했다. 그는 미군 중령으로 경기도 군정관시절 4-H구락부 보급을 시작한 장본인이다.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본국으로 귀국했던 그가 전역을 하고 민간인 신분으로 다시 한국을 찾은 것이다. 앤더슨은 당시 드물게 수준 높은 영어를 구사하는 27세의 젊은 강건주를 파트너로 삼고 싶어 했다. 강 고문은 민사원조사령부(당시 KCAC로 개칭) 소속으로 있으면서 앤더슨의 보좌역으로 통역, 번역 등을 하며 4-H보급 및 육성 업무를 하게 된다. KCAC는 식량농업국내에 한국4-H 재건과 전국 확대를 위한 전담부서를 두었다. 한미재단이 재정을 지원했다. 앤더슨의 내한과 한미재단의 4-H과제물자 지원, KCAC의 기술협력, 그리고 농림부의 행정적 뒷받침에 따라 4-H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급성장을 이루었다.
1954년 여름, 미국4-H회원과 농민, 교회 등에서 기증한 4-H사업지원물자가 인천항에 들어왔다. 가축, 식량, 교육자재, 비료, 농기구 등 엄청난 양이었다. 강 고문은 이 물자와 가축의 검역, 통관, 지역에 배부하는 일 등으로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야 했다. 이후 몇 년에 걸쳐 도입된 ‘미국4-H우정물자’는 ‘한국4-H과제은행’으로 운영돼 1968년까지 4-H활성화의 마중물이 되었다.
1954년 11월에는 한국의 4-H운동을 민간 차원에서 뒷받침하기 위해 현재 한국4-H본부의 전신인 한국4-H중앙위원회(이하 중앙위원회)가 창립총회를 가졌다. 중앙위원회는 과거 경기도4-H사업 후원인으로 활동하던 김동선, 조인섭과 사회저명인사, 기업가들이 발기인회를 발족하고 7월에 이미 업무를 시작했다. 중앙위원회 창립을 위한 업무와 정관 등 각종 문서를 작성하고 번역하는 일 또한 강 고문의 몫이었다.
이어 12월에는 제1회 4-H경진대회가 개최되었다. 강 고문은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 농림부, 중앙위원회, 한미재단, KCAC 대표로 구성된 실무진회의를 여러 차례 주관했다. 한미재단 지원금으로 중앙, 시도, 시군 대회의 시상품과 상장을 마련했다. 또 중앙대회의 경진종목, 심사, 대회장, 초청장 등 준비에도 만전을 기했다.

4-H국제교환훈련 처음 시작

4-H운동이 전국에서 들불처럼 타오르자 자연히 업무량이 폭주했다. 강 고문은 주관부처인 농림부와 업무연락을 하며 각종 책자, 팸플릿, 포스터 제작, 4-H지도전서 번역 등 4-H활성화에 필요한 자료들을 만들어 보급했다. 또 각 시도순회 강습회에 참석하는 한편, 농고와 대학, 중학교, 초등학교까지 다니며 4-H보급을 위한 강연을 했다. 1950년부터 1956년까지 4-H사업은 농림부 농업경제과에서 담당했고, 지방은 각 도의 농무과 농사교도계에서 관장했다. 이렇듯 폭주하는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김갑영 씨를 한미재단의 직원으로 채용토록 건의해 4-H업무를 함께 보았다. 한미재단에서는 차량과 운행비 등을 무상으로 지원해 주었다. 드디어 한국4-H업무차량 제1호인 지프차가 생긴 것이다.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것이었다. 강 고문은 차를 직접 몰고 전국 방방곡곡 지방순회에 나섰다. 주말에도 집에 들어가는 일을 포기해야 했고 2개월씩 전국을 순회하기도 했다. 1955년과 1956년 전국을 돌며 한국4-H활동 실태조사 종합보고서(국·영문)를 작성해 새로운 4-H지도방향을 설정토록 했다.
1962년 강 고문과 미원조당국(KCAC에서 USOM으로 명칭 변경)의 업무협조계약이 만료됐다. 그는 한미재단의 4-H사업부 소속으로 옮겨 한국4-H협조위원회 사무국장을 맡았다. 농촌진흥청을 통한 4-H과제물자보급, 4-H행사지원사업을 펼쳤다. 1963년 4-H국제교환훈련(IFYE)을 미국, 대만과 처음 실시토록 한 것도 강 고문의 공이다. 국제교환사업 재원은 정부보조금과 미국원조자금, 로타리클럽, 한미재단 등의 협조를 받았다. 1964년 봄, 앤더슨은 한국4-H재건을 마치고 미국으로 돌아갔다. 강 고문은 독자적으로 농촌진흥청과 4-H지도방향을 모색하면서 1970년대 말까지 4-H전문가로서 활동하게 된다. 그가 말하는 ‘4-H사업기술전문가’라는 명칭이 생소하게 느껴지지만 4-H가 우리나라에 도입되고 확산되는 과정에서 그가 펼친 활약상을 되돌아보면 고개가 끄덕여진다.
한국의 4-H가 이 땅에 뿌리를 내리고 든든하게 성장하는데 청춘을 바쳤던 강건주. 전국의 4-H가족들이여! 한국4-H운동 70년을 맞아 여전히 노익장을 과시하는 강건주 고문에게 참 수고 많으셨다고, 정말 고맙다고, 더 오래오래 건강하게 사시라고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박수를 보내드리자.  
〈조두현 전문기자〉
목록
 

간단의견
이전기사   [학교 4-H 탐방] 이순신 장군의 정기 잇는 인재로 성장해요
다음기사   [영농현장] 4대(代)를 이어 가는 것에 자부심 느끼는 청년농사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