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3-15 격주간 제849호>
[우리얼 돋보기] 평창 오대산사고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과 왕실의 족보인 ‘선원보략(璿遠譜略)’을 보관하기 위해 지었던 조선 후기 5대 사고 중 하나이다.
‘실록’은 조선 전기에 서울의 춘추관을 비롯하여 충주·전주·성주에 나누어 보관하였는데, 임진왜란(1592)으로 전주사고에 보관하고 있던 것만 남고 나머지는 모두 불타 없어졌다.
선조 39년(1606)에 다시 만들어 춘추관·태백산·묘향산·강화 마니산·오대산에 사고를 짓고 보관하였다. 그러나 인조 때 이괄의 난(1624)과 병자호란(1636)으로 ‘춘추관본’이 불타 없어졌고, 그 후 정족산·태백산·적상산·오대산에 보관하게 하였다. ‘정족산본’과 ‘태백산본’은 현재 서울대학교에 보관되어 있고, ‘적상산본’은 한국전쟁 중 없어졌으며, ‘오대산본’은 일본에서 거의 불타 없어졌다.
오대산 사고가 있던 곳은 원래 물·불·바람이 침입하지 못한다는 상서로운 곳이었다고 한다. 사고를 지을 당시에는 실록각·선원각·별관 그리고 사고를 지키던 수호사찰로 영감사가 있었으며, 참봉 2명과 군인 60명, 승려 20명이 사고를 관리하고 지켰다.
한국전쟁으로 모두 불에 탔으나 1992년에 사각과 선원보각으로 이루어진 사고의 건물을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자료참고·사진 - 문화재청>

목록
 

간단의견
이전기사   [이 한 권의 책] 꾸뻬 씨의 행복 여행
다음기사   [알아둡시다] 인터넷 밈(internet me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