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15 격주간 제640호>
<영화이야기> 이미지에 쌓여 버린 인물들

사랑 따윈 필요 없어

드라마나 만화를 리메이크 한다는 것은 힘든 일이다. 추석 때 개봉됐던 ‘타짜’의 경우 원작 만화 속 이야기를 탄탄하게 재구성해서 훌륭하게 만들었지만, ‘사랑 따윈 필요 없어’는 원작 드라마를 생각하지 않고는 이해하기 힘들만큼 조잡했다. 영화를 보는 내내 김주혁의 얼굴 위로는 원작 일본 드라마의 주인공 ‘와타베 아츠로’가, 문근영의 몸짓에는 ‘히로스에 료코’의 떨림이 겹쳐졌다. 안타깝게도 두 인물이 일본 드라마 속 인물과 흡사해서가 아니라 ‘드라마 속에서는 눈물이 났었는데 영화 속에서는 왜 아무런 감흥이 없는 걸까’하는 아쉬움 때문이었다.
이 작품은 2002년 한일 월드컵이 뜨겁게 세상을 달구고 있을 때 ‘사랑 따윈 필요 없어, 여름’이란 제목으로 일본 TBS 드라마 10부작으로 방영되었고, 당시 인터넷으로 일본 드라마를 봤던 누리꾼들은 그 감동을 이기지 못하고 칭찬을 쏟아냈다. 그리고 4년뒤인 2006년, 그 드라마를 원작으로 새롭게 영화가 태어났다.
줄거리는 아도니스 최고의 호스트 줄리앙 ‘김주혁’이 28억 7000만원이라는 어머어마한 빚을 갚기 위해 엄청난 돈을 상속 받은 민 ‘문근영’에게 다가가 잃어버린 오빠처럼 행동을 하며 유산을 가로 채려한다. 그 과정에서 사랑 따위를 믿지 않을 만큼 세상에 상처받은 두 남녀가 조금씩 마음을 열어 가고 결국은 서로 사랑에 빠지게 된다. 거짓말로 사람들을 현혹시켜 여자의 돈을 빼앗는 인물 줄리앙이 결국 자신이 뱉어냈던 거짓말처럼 사랑에 빠져든 것이다.
사랑을 만들기 위해 존재하는 수많은 거짓들, 하지만 그 거짓들은 사랑에 빠지고 나면 진실이 되고 마는 것이다. 줄리앙은 여자들을 유혹하기 위해 거짓 사랑을 팔고 있었지만 자신이 사랑에 빠지는 순간, 그의 사랑은 목숨을 버릴 수 있을 만큼 치열해진다. ‘사랑 따윈 필요 없어’라는 제목과 정 반대로 사랑만이 필요하다는 역설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며 영화는 끝이 난다.
원작 드라마가 플롯과 캐릭터를 중심으로 탄탄하게 이야기를 만들었다면 영화는 광고 같은 이미지를 중심으로 감성에 호소한다. 영화의 순간적 감정 흡입력은 드라마를 능가하는 힘을 갖고 있다. 하지만 플롯이 진행되면서 점점 쌓여오는 인물에 대한 비애나 슬픔은 찾아보기 힘들다. 200편 정도의 광고를 한 번에 보는 즐거움과 지루함을 동시에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그나마 역할의 비중이 적은 도지원, 진구, 이기영 같은 인물들이 잘 버티며 제 역할을 해주고 있다는 것이다.
〈손광수 / 시나리오 작가〉

목록
 

간단의견
이전기사   들꽃축제 열어 야생화 관심 계기 마련
다음기사   소비자와 함께 하는 ‘농촌사랑 한마당’ 크게 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