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9-01 격주간 제884호>
[우리꽃 세상] 열매와 잎이 예쁘고 귀여운 나무 - 천선과나무 -

꽃이 은화(隱花:숨어있어 보이지 않는 꽃)인 천선과나무는 우리 땅에서 오랫동안 살아 온 토종무화과나무이다. 열매인 천선과(天仙果)는 ‘하늘의 신선이 먹는 과일’이란 뜻으로 무화과나무가 우리나라에 들어오기 전까지 지체 높은 분들이 즐겨 먹었던 것으로 보인다.
경남 창원 다호리 고분군(사적제327호)에서 천선과나무 씨앗으로 추정되는 씨앗이 나온 것으로 볼 때 오랫동안 우리와 함께해 온 나무임에는 틀림이 없다.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의 낙엽관목 또는 소교목인 천선과나무는 구슬만한 크기의 말랑말랑한 흑자색의 열매가 젖먹이 애기를 둔 엄마의 젖꼭지와 모양이 흡사해 전라남도 일부 지방에서는 ‘젖꼭지나무’라 부르기도 한다. 열매는 9~10월에 익는데 먹을 수 있다. 껍질 전체가 회백색이나 어린가지에 껍질눈이 발달하여 무늬처럼 보이는 이 나무의 잎은 긴 타원형으로 두껍고 광택이 나며 어긋나기로 달린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5~6월에 피는데 꽃이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 은화로 눈에 보이지 않는다. ‘천선과좀벌’이라는 작은 벌에 의해 수정이 된다. 즉 암벌이 수꽃주머니(수화낭)속에 알을 낳고 수화낭은 가지에 달린 채로 겨울을 난 후 이듬해 여름 좀벌들이 부화를 한다. 부화를 한 좀벌들이 꽃가루를 뒤집어 쓴 채 밖으로 나가 암꽃주머니(암화낭)를 찾아 들어가면서 수정이 이루어진다.

◇ 자생지와 분포

제주도를 비롯한 남해 도서지방에서 비교적 쉽게 발견되는 나무이다. 바닷가 산기슭의 양지바른 곳에 난다. 전라남도 도서지방에도 자라는 것으로 알려졌다. 백양산이 북방한계선으로 되어 있다.
우리나라 원산으로 중국, 타이완, 베트남, 일본에도 분포한다.

◇ 재배와 번식

최근 광택이 나는 잎과 붉게 물드는 단풍이 아름답고 열매의 모양이 귀여워 화분에 심어 기르는 애호가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남쪽지방에서는 정원수나 건물 주변에 심기도 한다.
화분에 심을 때는 비교적 큰 분에 거름을 넉넉히 넣는다. 산모래(마사토)와 부엽토를 5:5정도로 심고 봄가을로 덩이거름을 분 위에 놓아주어 열매를 튼실히 키우도록 한다. 되도록 햇빛이 잘 드는 곳에서 기른다.
번식은 포기나누기, 종자번식, 꺾꽂이, 접목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포기나누기는 봄철 분갈이 할 때 하면 되고 꺾꽂이는 봄과 여름 모두 가능하나 여름의 녹지삽(올해 자란 가지를 꺾꽂이 하는 것)이 잘 된다. 강건한 나무로 특별히 병충해가 없다.

◇ 이 용

어린잎과 열매는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잎, 뿌리, 과실을 모두 약으로 쓴다. 잎을 ‘우내시’라 하여 류마티스관절염, 타박상, 산후유즙결핍을 치료하고 뿌리를 ‘우내장근’이라 하여 식욕부진, 난산, 월경불순, 탈장을 치료했다고 전해진다. 또 열매를 ‘우내장’이라 하여 치질치료에 이용했다.
무화과나무속의 나무들로는 모람, 무화과, 왕모람, 인도고무나무, 벤자민고무나무, 떡갈잎고무나무, 대만고무나, 천선과나무가 있는데 이들 나무도 집안에서 화분에 키워 감상하고 있다.
〈김창환 / 야생화농원 운영〉

목록
 

간단의견
이전기사   작은 정성, 위대한 첫걸음! - 4-H교육활동 후원하기
다음기사   세계를 가슴에 품어라 …‘S4-H 청소년 미국파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