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6-15 격주간 제879호>
[청소년에게 들려주는 진로이야기] 데이터 홍수에서 미래를 찾는 ‘빅데이터 전문가’
이 세 용 지도교사 서산 서일고등학교

‘빅데이터’란 데이터의 생성 양·주기·형식 등이 기존 데이터에 비해 매우 크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으로 수집·분석·이용이 어려운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말한다. 빅데이터 분석가는 이런 빅데이터를 관리, 분석해서 통계모델을 만들어 사람들의 행동패턴이나 시장경제 등을 예측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들의 업무는 빅데이터를 어떻게 추출, 활용할 것인지 기획을 하는 일부터 시작한다. 기업에서는 신제품 출시를 앞두고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중요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으며, 생산이나 마케팅 전략을 짤 때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기도 하며 사기방지, 위험관리, 보안 등을 위한 자료로도 쓸 수 있을 것이다.
빅데이터 분석가가 되기 위해선 컴퓨터공학, 통계학 등을 전공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데이터분석가, 통계분석가 등이 빅데이터 분야에서 활동 중이다. 데이터 과학은 컴퓨터 공학과 통계학 등 다양한 관련 학문이 통합돼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통계학에 대한 지식과 비즈니스 컨설팅에 대한 이해, 데이터 분석을 위한 설계 기법 활용 등에 관한 전문적인 역량이 필요하다.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모아 가공하는 데이터 처리 능력, 분석에 필요한 모형을 만들고 결과를 도출하는 분석 능력, 해당 업종에 대한 이해도 중요하다.
정부와 기업이 생산성 향상을 위해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면서, 빅데이터 전문 인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지금은 빅데이터 사업을 선도하기 위한 기업들의 경쟁이 서서히 뜨거워지는 시점이라 공공 부문 뿐 아니라 민간 차원에서도 빅데이터 전문가의 수요는 크게 늘 것으로 전망된다. 많은 데이터 사이에 숨겨져 있는 유용한 상관관계를 발견해서 미래에 실행 가능한 정보를 추출하고 의사 결정에 이용하는 걸 ‘데이터마이닝’이라고 한다.
빅데이터를 관리하는 수요층은 크게 두 곳으로 정부기관의 예산 중 빅데이터 사업으로 할당된 예산이 점점 늘어나고 있고 앞으로도 늘어날 전망이며, 두번째 수요층은 대기업으로 빅데이터를 잘 활용해 기업 가치를 창출하고 마케팅에 이용할 수 있다. 빅데이터 분석가를 육성하는 교육과정은 대학을 통해서 배출되는 방법이 있고, 기존의 IT업계에 종사하면서 데이터베이스를 다뤘거나 데이터마이닝을 해본 사람들, 통계학을 전공했던 사람들이 빅데이터 분석가로 교육을 받은 후 활동하는 경우가 있다.
빅데이터 분석가의 어려운 점을 보면 강의, 프로젝트 실행, 리서치 업무 등이 한 번에 몰릴 때나 데이터 분석 후 원치 않는 결과가 나왔을 때 조언을 해줄 사람이 없다는 점과 분석 작업 결과에 대한 두려움도 있을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결과를 중시하는 사회에서는 예측과 다른 결과가 나왔을 때 부담감이 크다. 가장 보람 있을 때는 예측했던 결과와 실제 결과가 딱 맞아 떨어졌을 때일 것이다.
지금은 수요에 비해서 공급이 부족한 상황으로 빅데이터 분석가가 많지 않고, 빅데이터 분석가를 배출하는 시스템이 형성되는 단계이기 때문에 차근차근 준비하면 좋은 기회가 올 수 있다. 진로 선택에서 단기간의 유행을 따라가기보다는 장기적으로 그 직업이 미래에 얼마나 발전할 것인지 등을 고려하고, 자신의 성향에 적합한지도 생각하여 두 가지가 교집합이 됐을 때 해당 직업을 선택하면 좋을 것이다.
〈자료 참고 - 워크넷〉
목록
 

간단의견
이전기사   [기고문] 목포대학교4-H회, 전남 유일 대학4-H회로 우뚝
다음기사   [시 론] 당신은 농업에 대한 편견을 아직도 갖고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