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1-15 격주간 제893호>
[영농현장] 4-H는 내 삶 바꾼 디딤돌…토종다래와 사랑 빠진 당찬 여성농업인

김 은 솔  회원 (강원 평창군4-H연합회 직전회장)

토종다래 농사 7년차에 접어든 김은솔 회원은 가공제품 개발을 통해 토종다래를 누구나 알 수 있도록 많이 홍보하고 싶다고 강조한다.


“어느덧 7년차 농부의 길로 접어들었네요. 제가 농업에 뛰어든 건 무엇보다 건강한 먹거리를 키워보고 싶다는 생각이 컸기 때문입니다.”
약 1년 전, 꽁꽁 얼어붙은 남북관계에 평화의 물꼬를 튼 평창동계올림픽. 평화의 상징이 된 이곳 강원도 평창에서 토종다래를 재배하며 청년4-H회원으로 그리고 여성농업인으로서 꿈을 키우고 있는 김은솔 회원(30·강원도 평창군 고길천4길 60-52)을 만났다.
김 회원이 주력으로 재배하고 있는 작목은 토종다래와 산마늘이다. 토종다래는 9,900㎡, 명이나물로 더 많이 알려져 있는 산마늘은 6,600㎡ 규모로 재배하고 있다.
토종다래 농사를 처음 시작할 땐 위험부담이 적지 않았다. 묘목을 심으면 4~5년 정도는 기다려야 수확이 가능한데다 평창 지역에는 토종다래 재배기술이 정립돼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토종다래 농사를 시작할 수 있었던 건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어머니를 도와 농사를 짓겠다고 결심한 딸 김은솔 회원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연화농원’ 대표이기도 한 김 회원과 그의 어머니 김정숙 씨는 모녀이기 전에 서로를 믿고 의지하는 조력자이자 동반자다.

5년의 기다림 뒤 찾아온 첫 결실

5년의 기다림 끝에 지난해 비로소 3톤의 토종다래를 생산하면서 안정적인 매출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이 중에서 2톤은 모두 인터넷, SNS, 블로그를 활용한 직거래로 판매하고, 1톤은 가공용 잼이나 청 같은 가공제품으로 준비 중이다.
다래는 9월 한 달 동안 수확을 하는데, 실온에서 보관할 수 있는 기간이 1~2주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가공제품화 하는 부분이 늘 고민이었다. 그러던 차에 때마침 지난해 농촌진흥청에서 주관하는 청년농업인 경쟁력제고사업에 대상자로 선정돼 다래 가공 기반시설을 갖출 수 있는 기회가 찾아왔다.
다양한 가공제품 개발뿐만 아니라 청소년과 학부모를 위한 체험장, 그리고 토종다래 재배 농가를 위한 전문교육농장 등으로 영역을 넓히고자 하는 그녀의 포부와 목표도 들을 수 있었다.
초창기 평창에서 13농가가 함께 토종다래 농사를 시작했는데, 당시만 해도 다래 농사를 짓는 농가도 없었을 뿐만 아니라 재배기술도 잘 알지 못해 어려움이 많았다. 그러다 원주에서 멘토 농가를 만나 기술을 전수받으며 도움을 많이 받았다. 올해엔 처음 개설돼 1월 개강하는 상지대 농업마이스터대학 다래재배 2년 과정을 신청해 기술 향상 노력도 게을리하지 않을 계획이다.

세상 보는 시야 넓혀준 4-H

김은솔 회원이 4-H와 인연을 맺게 된 것은 어머니의 적극적인 권유 때문이었다. 어머니 김정숙 씨는 한국여성농업인중앙연합회 평창군회장으로 2013년부터 4년 동안 활동했다. 김 회원은 2016년 4-H회원으로 가입해 작년 평창군4-H연합회장, 강원도4-H연합회 여부회장, 한국4-H중앙연합회 사업부장 등을 역임하면서 리더십을 인정받았다.
작년 한 해 동안 4-H활동에 푹 빠져 살았다며 올해는 모든 직을 내려놓고 평회원으로 돌아왔다는 그녀. 올해엔 농장 일에 우선적으로 전념하고 싶다는 생각 때문이다. 결혼도 하지 않은 그녀는 아무렇지 않게 다래를 ‘내 새끼처럼 키운다’고 서슴없이 이야기한다. 말 못하는 나무지만, 농장에 오면 왔다고 인사를 건네는 것으로 일과를 시작한다는 김 회원은 영락없는 농사꾼임에 틀림없다.
“4-H활동 하면서 농업에 대한 생각도 바뀌고, 세상보는 시야도 넓어졌습니다.  정부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청년농업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주고, 현장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농업정책을 펼쳐주셨으면 합니다.” 
〈정동욱 차장〉

목록
 

간단의견
이전기사   현장 Focus - 김태훈 푸디웜 대표
다음기사   [지도자 탐방] 60여 년 함께 한 4-H, 삶의 동반자가 되다